• 최종편집 2024-03-29(금)
 

서임중 목사.jpg

한 잎 낙엽이 속삭이듯 창문을 노크하며 날아 내린다. 아파트 앞 둘레길 가로수도 어느새 울긋불긋 채색 옷을 갈아입고 빼곡히 짙던 잎새들을 조금씩 솎아내며 서 있다. 열어놓던 창문도 이제는 닫아야 하는 계절의 변화에 분주함을 잠시 멈추며 걸어온 삶의 발자취를 돌아본다. 고희의 세월을 살아온 날들을 회상하는 가운데 나는 천국으로 가는 길목에 거룩한 옷을 갈아입으려 얼마나 애쓰는가 생각해 본다.

 어린 나이에 포항중앙교회 담임목사로 부임을 했었다. 목회 추억이야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가을이 되면 떠오르는 에피소드가 있다. 노회를 마친 어느 주일 당회 모임에서 평소 어린 목사를 따뜻하게 품고 지극히 아껴 사랑하며 동역하시는 큰형님 같은 장로님이 웃으시며 조용하게 “목사님께 한 말씀 드려도 되겠습니까? 목사님, 노회에 가셔서 너무 그렇게 허리 굽혀 인사 안 하셔도 됩니다. 큰 교회 당회장이라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중앙교회 당회장의 자리에 걸맞은 모습이 필요한 것은 아닌가 생각합니다” 장로님의 말씀을 백분 이해하면서 나도 웃으면서 말씀을 드렸다. “대형교회 목사가 인사할 때 허리 굽히면 안 된다는 성경구절이 어디 있습니까?” 당회원들은 파안대소하면서 분수에 맞는 언행이란 꼭 필요한 것임을 서로 이해하고 포항중앙교회는 관계개념에서 주님의 가르침을 따라 섬기고 베풂의 삶을 실천하는 교회를 지향하자고 했었다.

 나의 목회병법에는 10가지가 있다. 그 중의 하나가 휴지통 목회다. 모든 사람들이 자기 필요에 따라 사용한 후 버려야 할 것들은 휴지통에 버린다. 휴지통은 가득차면 비우고 다시 채운다. 교인들이 교회생활을 하는 동안 이런저런 일들에서 오는 불평 원망이 왜 없겠는가? 그럴 때면 상호간에 얽히고설킨 것들을 목사에게 와서 털어놓는다. 그리고 자기 뜻이 관철되면 웃고 돌아가지만 그렇지 않으면 온갖 아픔을 목사에게 되돌려주는 일들이 다반사로 일어난다. 그런 경우에 나는 휴지통 목회로 일관한다. 다 받아들이고 더 담을 수 없도록 채워지면 십자가 앞에서 다 비워버린다. 그것은 육체의 허리를 굽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허리를 굽히는 것이다. 이것이 나의 목회병법의 한 가지다.

 가을이 깊어가던 어느 날 청소를 하는 집사님을 계단에서 만났다. 걸레를 들고 청소 도구를 옆에 세우고 있던 집사님은 나를 보자 언제나처럼 애기 같은 웃음을 지으며 한 걸음 비켜서다가 들고 있던 빗자루를 떨어뜨렸다. 내 발 앞에 떨어진 빗자루를 내가 엎드려 주워서 건네주니 “목사님, 목사님, 죄송, 죄송해요, 죄송해요”하며 어쩔 줄 몰라 하시던 모습을 나는 평생 잊을 수가 없다.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집사님을 한참 동안 바라보았다. 먼지를 닦고 휴지를 줍고 연신 허리를 굽히고 일어서고 굽히고 일어서고... 하루 종일, 일 년 내내 집사님은 그렇게 교회를 쓸고 닦는다. 집사님의 아름다움은 육체적 허리를 굽힐 때보다 마음의 허리를 굽힐 때 더욱 확연히 전해져온다.

 이조(李朝) 역사에 가장 겸손하면서도 충정 어린 재상으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 가운데 고불(古佛) 맹사성(孟思誠)을 빼놓을 수 없다. 일생을 가난하게 지내면서도 성품은 온유했고, 그러면서도 공사(公私)를 분명하게 하면서 직무에 강직했던 재상이었다. 그는 이조(李朝) 역사의 대표적인 청백리(淸白吏)로서 공직자가 지녀야 할 자세를 오직 목민(牧民)에 두었고 청렴결백(淸廉潔白)을 생활신조로 삼았다. 청렴하면서도 부드럽고 그러면서도 강직했던 고불(古佛)의 정신은 오늘처럼 공직사회의 기강이 무너지고 처처에 공직자의 비리가 만연해지는 때에 참으로 좋은 본보기가 되는 역사의 교훈이다.

 그렇다고 고불이 본래부터 겸손하고 훌륭한 재상이었던 것은 아니다. 어릴 때부터 명석한 머리로 교만했던 고불이 그처럼 훌륭한 인물이 된 중요한 사건이 있었다. 야사(野史)에 의하면 맹사성이 열아홉에 장원급제-正史는 1386년(우왕 12년) 27세에 문과 전시에 장원급제- 후 파주 군수로 명을 받았을 때 선사(禪師)를 찾아 훌륭한 정치를 수행할 수 있는 고언(高言)을 듣기를 청했다 그 때 고승(高僧)이 이르기를 “선한 일을 많이 하고 악한 일은 하지 마시오”라는 지극히 평범한 한마디를 들려주었다. 오만한 맹사성은 “스님, 그 말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 말을 들으려고 여기까지 올라온 줄 아십니까?” 하며 노기 띤 얼굴로 일어섰다. 고승은 “먼 산사(山寺)까지 오셨는데 녹차라도 한 잔 들고 가시기 바랍니다” 하고 권유했다. 오만했던 맹사성도 부끄러운 마음으로 못 이긴 체 자리에 앉았다. 고승은 맹사성 앞에 녹차 잔을 놓고 차 주전자로 찻잔에 차를 따랐다. 그런데 찻물이 흘러넘쳐 방바닥을 적시는데도 계속 따르고 있는 것을 본 고불이 더 화가 나 “스님, 지금 찻잔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고 있지 않습니까?” 하며 화를 냈다. 고불의 말을 들었는지 못 들었는지 고승은 혼잣말로 이렇게 중얼거렸다. “녹차 잔의 물이 넘쳐 방바닥 버리는 것을 보고 알면서 왜 지식이 넘쳐 자신의 성품과 인격을 버리는 것은 보지 못하고 알지 못할까?” 이 말을 들은 맹사성은 부끄러운 마음에 얼굴을 들 수 없어 황급히 차를 마시고 일어서 문밖으로 나갔다. 자리를 피하려는 급한 마음에 서두르던 맹사성이 낮은 문지방에 이마를 부딪치고 손으로 이마를 감싸며 나가는 맹사성의 뒤에서 고승의 설법 같은 두 번째 말이었다. “엎드리면 부딪치는 법이 없습니다” 오만했던 고불이 위대한 이조의 명재상 고불 맹사성이 되게 한 한 사건이 이것이었다.

 교회도 사회도 정치도 어느 한 곳 성한 곳이 없는 오늘을 살아가면서 왜 모두 이렇게 시끄럽고 불편한가를 생각해 보면 맹사성을 향한 고승의 말 한마디가 명언이 된다. 마음의 허리를 굽히면 육신의 허리도 굽혀진다. ‘허리를 굽혀라’ 그것이 너의 마음을 나의 마음에 자연스럽게 끌어당기는 아름다운 삶의 지남철이다. Bend down! Bend over! 얼마나 멋있는 말인가!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서임중 칼럼]허리를 굽혀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